뭉게뭉게 엔지니어

TTL(Time To Live) 본문

☁ 실습 해보기/Packet Tracer

TTL(Time To Live)

어푸어푸🌊 2022. 6. 24. 01:49

TTL이란?

Network 환경에서 Packet이 생존할 수 있는 시간(통과할 수 있는 최대 Router의 수)

 

TTL 하면 어쩔 수 없이 등장하는 녀석! ICMP (ICMP에 대한 정보는 여기서 !)

 

packet tracer의 simulation 모드를 활용해서 PDU detail에서 확인해보면 좋다!

 

 

[PC0 → PC1]

 type 0x08 = Echo request

  ┖ ※type = ICMP 메시지의 용도

 

 

[ R1 → PC0 ]

 type 0x00 = Echo reply

돌아올 때의 TTL은 보낸 것의 TTL 이 들어옴!

→ 나는 128로 보냈지만 돌아올 때에는 상대의 TTL인 255가 들어온다.

                                                                                       ┖ cisco의 TTL 기본값

 

[ PC1 →  PC0 ] 

이를 통해, Router 하나를 건널 때마다 TTL값이 1씩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tracert.exe

 - TTL 값이 0이 되면 항상 type 11번 메시지를 reply 한다. 

ex) TTL을 1로 해서 목적지로 보내면(type 8)
 
C:\Users\user1>ping -i 1 8.8.8.8

첫번째 라우터에서 TTL이 0이 된다.
→ type 11번 메시지가 옴(Time exceeded)

Ping 8.8.8.8 32바이트 데이터 사용: 200.200.200.254의 응답: 전송하는 동안 TTL이 만료되었습니다.​

▶ tracert는 해당 과정을 목적지까지 도달할 때까지 자동으로 TTL을 1씩 증가시켜서 보낸다.

    도달이 안 되면 type 11번 메시지가 오고, 도달이 되면 type 0번 메시지가 온다.

 

192.168.1.100] , simulation 
C:\>tracert 192.168.2.100
icmp : type 8, ttl=1 첫번째라우터에서  ttl=0 되면서 type=0xb(11) 으로 reply -3회
icmp : type 8, ttl=2 두번째라우터에서  ttl=0 되면서 type=0xb(11) 으로 reply
icmp : type 8, ttl=3 세번째라우터에서  ttl=0 되면서 type=0xb(11) 으로 reply
icmp : type 8, ttl=4 네번째라우터에서  ttl=0 되면서 type=0xb(11) 으로 reply
icmp : type 8, ttl=5 목적지에 도달


Tracing route to 192.168.2.100 over a maximum of 30 hops: 
→ 30번안에 못가면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본다.

  1   4 ms      4 ms      4 ms      192.168.1.254(type 11을 보낸 라우터) 
  2   6 ms      6 ms      0 ms      3.3.3.4(type 11을 보낸 라우터) 
  3   0 ms      0 ms      0 ms      4.4.4.5(type 11을 보낸 라우터) 
  4   0 ms      0 ms      0 ms      5.5.5.6(type 11을 보낸 라우터) 
  5   0 ms      0 ms      0 ms      192.168.2.100(type=0x0)

'☁ 실습 해보기 > Packet Trac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istritbuted  (0) 2022.06.23
Routed port를 이용한 InterVLAN  (0) 2022.06.16
VLAN_Sub interface 설정  (0) 2022.06.16
VLAN_Native LAN 실습  (0) 2022.06.16
OSPF_Multi Area 실습  (0) 2022.06.16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