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네트워크 기초 따라가기/OSI 7 & TCP IP (7)
뭉게뭉게 엔지니어

Transport 계층은 port주소를 지정하여 서비스를 구분할 수 있게 해주고, 데이터의 전송 방식을 결정한다. 필요에 따라 단편화 작업을 수행한다. 1) 주소: Port Address 2) Protocol : TCP, UDP 3) 장비 : L4 Switch **장비는 일반적으로 하위계층의 기능을 포함한다. 1) Port Address 란 Application 구분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시스템 내부의 프로세스 또는 프로그램 식별을 위해 사용하는 식별 값이다. 프로그램 설계 시 사용할 Port 주소가 지정되며, 이는 IANA에서 관리한다. - 2byte(16bit) 크기의 10진수 한 자리로 표기한다. - port주소의 총 개수는 2^16(=65536)개이다. 즉, 0번부터 65535번까지! - 이는 ..

아직 PDU에 대해 잘 이해를 못한 상태에서 ARP, ICMP 등을 보니 머릿 속에 태풍이 휘몰아치는 느낌이다..^^.. 특히나 ARP는 따로 정리가 필요하다고 느껴져 정리해본다.. ARP란?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간단히 말해, 논리적인 주소(IP주소)를 기반으로 물리적인 주소(MAC)를 알아오는 기술!!!이다. - L3 프로토콜 이지만 IP 하위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이며, 특정 프로그램에 호출 되었을 때만 동작한다. - 주로 목적지 MAC 주소를 확인할 때 사용한다. - 동작: Request ➡ Broadcast / Reply ➡ Unicast - type : 0x0806 🔽이러한 ARP의 header를 자세히보면 아래와 같다.🔽 ARP 헤더에서 가장 눈여겨 봐야 할 부..

3계층은 마의 구간이다.. 1,2계층에 비해 하는 일도 많고 Protocol도 다양해서 배우는 데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주요개념인 Routing은 그 범위가 방대하여 별도의 카테고리로 정리하였다. 3계층은 최종 목적지 구분을 위한 IP 주소를 지정하는 역할을 하고, 최종 목적지로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로를 설정하는데, 이를 Routing이라 한다. 3계층에서 사용하는 장비는 Router와 L3 Switch가 있고, Router에 대한 개념은 Router 카테고리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다. 먼저 3계층의 Protocol에 대해 알아보자. IP란? Internet Protocol - Packet을 지정된 목적지 네트워크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비 연결 지향적 / 비 신뢰성 / 종단간 연결 보장..

2계층은 MAC주소를 지정하는 역할을 하고, Network Environment(네트워크 환경) 정보를 지정한다. 2계층에 사용되는 장비로는 Bridge, Switch(L2), Multi Layer Switch가 있다. ① Bridge : Full-Duplex 연결 지원, 신호 재생을 수행하는 장비 ② L2 Switch : Switching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 2계층 프로토콜 정보를 해석하고 이용할 수 있는 장비 MAC 주소를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목적지를 구별하여 데이터를 전달함. ③ Multi Layer Switch : L2 기능 외 다른 계층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스위치 ex. L3 switch, L4 switch, L7 Switch MAC주소란 뭘까? - NIC(Network I..

1계층은 Bit 형태의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전달하는 계층으로, OSI 7 Layers 모델에서는 Physical 계층이고 TCP/IP 계층에서는 Hardware 계층이다. 1계층에서 쓰이는 장비로는 Media(cable), Connector, Repeater, Hub가 대표적이다. 1) Media & Connector - 통신 케이블을 Media라고 하고, 그 종류로는 동축케이블, 꼬밍쌍선 케이블, 시리얼 케이블 ,광 케이블이 있다. ①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 10Mbps를 지원하여 과거 Ethernet 환경에서 사용되었음. ② 꼬임 쌍선 케이블(Twisted-Pair Cable) : 현재 LAN 구성에 일반적으로 사용함. (전용 커넥터=RJ45) **RJ45의 핀배치..

Network Model 통신이 일어나는 절차를 각 기능별로 모듈화하여 만들어 놓은 계층적인 구조로, 항상 순서대로 동작된다. ex) OSI 7 Layers 참조모델, TCP/IP Model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통신 과정을 위 표를 활용하여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송신자 측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하위계층으로 내려가면서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합쳐주는 과정을 Encapsulation이라 하고, 수신자 측에서 데이터를 전송받은 후 상위계층으로 올라가면서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확인하며 떼어내는 과정을 Decapsulation이라 한다. 떼어낸다? 무엇을??? 이 말을 이해하려면 계층별로 Data가 전송될 때 어떤 모양인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Data가 전송되는 순서(L7 ➡ L1)가 진행될 때마다 데이터의 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