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게뭉게 엔지니어
VLAN(2) 본문
VLAN을 할당하는 방식에는 Static VLAN 과 Dynamic VLAN 방식이 있다.
1) Static VLAN : 관리자가 직접 모든 port에 VLAN에 관련된 정보를 설정하는 방식
2) Dynamic VLAN : VLAN을 할당하는 외부장비(프로그램) 등을 사용하여 VLAN에 관련된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식
Port의 Mode를 협상(Negotiation)을 통해 동적으로 결정하는 방식으로, DTP로 협상 메시지를 전달함.
DTP (Dynamic Trunking Protocol)
- switch간 port모드를 설정해주는 것을 말한다.
- 일반적으로 Static은 Static 끼리 사용하지 Static으로 협상하지 않고 Auto 또는 Desirable 로 협상한다.
- Access는 Switch 보다는 pc에 붙이고, Switch는 대부분 Trunk만 붙인다.
기본적으로 Switch는 2계층 장비이기 때문에(L2 Switch) Router(L3 장비)의 기능이 없다.
그렇다면 VLAN 환경에서는 서로 다른 NA는 어떻게 통신 할까?
그 해답이 바로 Inter VLAN이다.
Inter VLAN
- 쉽게 말해 VLAN간의 Routing이다.
Router가 많아지면 interface도 많아져서 복잡해진다. 그래서 VLAN을 사용해주는 것인데,
VLAN는 2계층 장비인 Switch로 구성된 것이라서 3계층 장비 또는 3계층 장비 역할을 하는 것이 없으면
서로 다른 VLAN간의 통신은 불가하다.
- Multilayer Switch 또는 Routing을 이용하여 VLAN으로 분리된 Broadcast Domain간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 조건 : Routing 기능을 지원하는 장비가 필요하다.
Inter VALN의 방식은 두가지가 있다.
1) Router를 이용한 Inter VLAN
- Router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f0/0)를 논리적으로 나눈 Sub interface(f0/0.10, f0/0.20)를 이용하여 설정한다.
- Sub interface에 Trunk를 설정하며 VLAN 번호 지정 및 별도의 주소입력으로 하나의 VLAN gateway 설정이 가능하다.
2) Multilayer Switch를 이용한 Inter VLAN
- L3 Switch를 이용해 Routing
- SVI (Switch Virtual Interface) : 원격 관리 목적으로 swtich에 IP주소를 부여(L3 아님)
VLAN과 연결되는 Switch내부에 생성 가능한 가상 인터페이스
∴ console을 쓰다가 고장나는 경우 Switch에 접근할 방법이 없음.
➡ 원격으로 접속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가상의 주소를 만들어주자!!
➡ 내부 VLAN의 Gateway 설정에 사용됨.
- Routed port : 물리적인 L2 port에 L3 기능을 활성화하여 통신을 지원하는 방식
Multilayer Switch 간을 연결하거나 Router, 서버와의 연결에 사용됨
'☁ 네트워크 기초 따라가기 > VL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AN (0) | 2022.06.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