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게뭉게 엔지니어
vi editor 본문
vi editor란 ?
vi 편집기로, UNIX 운영체제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문서 편집기이다.
vi editor는 mode 변경에 유의해야하므로, 각 모드별 특징과 필요 명령어들에 대해 숙지해야 한다!
vi editor에는 네가지 모드가 있는데,
실행모드, 명령모드, 입력모드, 수정모드 가 있다.
네가지 모드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1) 실행모드
vi 명령어를 사용하여 vi editor로 입장을 했을 때에는 "명령모드"이다.
여기서 콜론(:) 또는 슬래쉬(/) 또는 물음표(?) 를 입력하면 "실행모드"로 입장하게 된다.
실행모드에서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는
: w(저장), q(종료) , !(강제) 이다.
ex) :w , :q, :wq, :wq! , :q!
┖ 주로 저장하고 빠져나오기를 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한다.
기타 사용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set nu (행번호 지정)
:set nonu (행번호 지정 해제)
:set ic (대소문자 구분하지 말 것)
:set noic (대소문자 구분할 것)
2) 명령모드
# vi + 파일명 을 입력하거나
다른 모드에서 ESC를 누르게 되면 "명령모드"에 입장하게 된다.
명령모드에서는 커서 이동, 단어 이동, 행 단위 이동, 복사, 잘라내기, 붙여넣기, 대소문자 변환 등을
실행할 수 있다.
1) 커서이동
- ← : h
- ↑ : k
- → : l
- ↓ : j
2) 단어 단위 이동
- w : 앞
- b : 뒤
[숫자] + w 또는 b 를 하게 되면 입력한 숫자만큼 이동할 수 있다.
3) 행 단위 이동
- G : 마지막 행
- gg : 첫번째 행
이 또한 앞에 [숫자]를 붙여주면 해당 행번호 행으로 이동한다.
ex) 20G
4) 한 개의 행 안에서의 이동
- 0 : 시작
- $ : 끝
5) 대소문자 변환
- ~
[n]~ : 해당 갯수만큼 대소문자를 변환한다.
6) 복사, 잘라내기, 붙여넣기
- [n]yw : 단어를 복사
- [n]yy : 행을 복사
- [n]dw : 단어 잘라내기
- [n]dd : 행 잘라내기
7) 붙여넣기
- (소문자)p : 커서가 있는 행 기준 아래로 붙여넣기
- (대문자)P : 커서가 있는 행 기준 위로 붙여넣기
8) 삭제
- [n]x : 해당 숫자 갯수만큼 문자 삭제
- 잘라내기 후에 저장
9) 취소
- u : 직전에 수행한 것을 취소시킨다.
3) 입력모드
명령모드에서 특정 문자를 입력해주면 "입력모드"로 진입이 된다.
입력모드는 어떤 문자를 입력하냐에 따라 [INSERT]모드와 [REPLACE]모드로 나뉜다.
1) INSERT 모드(입력모드)
- a : 현재 커서 오른쪽부터 입력 가능
- A : 현재 커서 행 가장 끝부터 입력 가능
- i : 현재 커서 왼쪽부터 입력 가능
- I : 현재 커서 행 가장 처음부터 입력 가능
- o : 현재 커서 행 아래에 빈 행 만들어서 입력 가능
- O : 현재 커서 행 위에 빈 행 만들어서 입력 가능
2) REPLACE 모드(수정모드)
(대문자)R을 누르면 해당 모드로 진입한다.
INSERT 모드와의 차이!!!!
입력모드에서는 문자를 새로 입력하면 기존의 문자가 그대로 있고 새로운 문자도 입력되지만,
수정모드에서는 새로 입력하는 문자가 기존의 문자를 대체한다.
'☁ Server > 기초 따라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press(tar,gzip,bzip2) (0) | 2022.07.17 |
---|---|
Special permission & ACL(확장퍼미션) (0) | 2022.07.08 |
Permission (0) | 2022.07.08 |
Ownership (0) | 2022.07.05 |
사용자 & 그룹 관리 (0) | 2022.06.3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