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게뭉게 엔지니어

VLSM 본문

☁ 네트워크 기초 따라가기/IP

VLSM

어푸어푸🌊 2022. 6. 18. 14:49

VLSM이란?

Variable Length Subnet Mask로 가변길이 서브넷 마스크로 해석할 수 있다.

가변길이 서브넷 마스크란?

네트워크(NA) 당 host의 갯수가 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까지 일정한 갯수대로 쪼개왔다면, 이제는 네트워크마다 다른 갯수로 쪼개준다고 이해하면 된다.

 

왜 쪼개주느냐???

 

고것은 subnetting을 하는 이유를 되새겨 보아야 한다. 

➡ Classful network의 문제점이었던 IP주소 낭비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굳이 굳이 네트워크마다 다른 갯수로 쪼개주는 이유는?

각 네트워크에서 필요로하는 호스트 수가 같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각 네트워크에서 원하는 호스트 수만큼 배분해준다고 생각하면 된다.

 

 

물론 쪼갤 때에는 무작위가 아니라 많은 갯수부터 적은 갯수 순서대로, 일정한 방향으로 쪼개야 한다.

 

VLSM 은 다른 것보다 많은 예시로 연습해보는 것이 최고!

조별과제로 내가 만들었던 문제를 예시로 들어보겠다.

 

A팀부터 E팀까지 각각 원하는 호스트 수가 다르다.

먼저 원하는 호스트 수의 크기가 큰 순서대로 나열을 해줘보자.

➡ D팀 (62대) >  A팀(45대) > C팀 (31대) > B팀 (30대) > E팀 (8대)

    이제 위 순서대로 네트워크를 쪼개서 나눠주면 된다.

 

1) 2^5 < D팀(62대) < 2^6

   ➡ subnet id : 2(=8-6  ∵네트워크 수가 아닌 호스트 수 기준이기 때문에 오른쪽에서 세어야 한다!!  참조

   ➡11001000.11001000.11001000.00000000 / 01000000 / 10000000 / 11000000

       ㄴ이 중 62대의 호스트가 포함되는 범위까지가 D팀에게 배분되는 네트워크 범위가 되겠다!

   ➡ 200.200.200.0 ~ 200.200.200.64

 

2) 2^5 < A팀(45대) < 2^6

   ➡ subnet id : 2

   ➡11001000.11001000.11001000.10000000 / 11000000 

   ➡ 200.200.200.65 ~ 200.200.200.127  

          ㄴ 먼저 배분된 범위 이후부터 해당되어야 하고,

               45대의 호스트 갯수가 포함되는 범위까지가 A팀이 속하는 네트워크 범위이다.

 

3) 2^5 < C팀(31대) < 2^6

   ➡ subnet id : 2

   ➡11001000.11001000.11001000.11000000 

   ➡ 200.200.200.128 ~ 200.200.200.191

       

4) 2^4 < B팀(30대) < 2^5

   ➡ subnet id : 3(=8-6  ∵네트워크 수가 아닌 호스트 수 기준이기 때문)

   ➡11001000.11001000.11001000.11000000 / 11100000

   ➡ 200.200.200.192 ~ 200.200.200.223

 

5) E팀(8대) = 2^3

   ➡ subnet id : 5(=8-3  ∵네트워크 수가 아닌 호스트 수 기준이기 때문)

   ➡11001000.11001000.11001000.11100000 ~ 11111000

   ➡ 200.200.200.224 ~ 200.200.200.240

 

위의 결과를 Network Address / Subnet Mask / Broadcast Address / Host Address 로 나누어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네트워크 기초 따라가기 > 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bnetting  (0) 2022.06.09
Class  (0) 2022.06.08
IP 주소  (0) 2022.06.0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