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게뭉게 엔지니어

Administrative Distance 본문

☁ 네트워크 기초 따라가기/Routing

Administrative Distance

어푸어푸🌊 2022. 6. 24. 00:36

직역하면 "관리 거리" 이다.

 

여러 라우팅 프로토콜이 함께 동작하면서 

동일 목적지 네트워크에 대한 라우팅 테이블 정보가 다르게 학습되는 경우, 

관리적인 측면에서 선호되는 라우팅 테이블 정보의 값

 

즉, 라우팅 테이블 정보의 우선 순위를 말한다. 

 

똑같은 목적지로 가는데 정보가 달라!

누구는 A로 가라, 누구는 B로 가라! 

그럼 어디가 최적경로일까? (누가 우선할까?)

아래의 라우팅 테이블로 예를 들어보자!


C    1.0.0.0/8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R    2.0.0.0/8 [**120**/1] via 1.1.1.2, 00:00:25, FastEthernet0/0
C    3.0.0.0/8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1/0
R    4.0.0.0/8 [120/1] via 3.3.3.4, 00:00:28, FastEthernet1/0
R    5.0.0.0/8 [120/2] via 1.1.1.2, 00:00:25, FastEthernet0/0
               [**120**/2] via 3.3.3.4, 00:00:28, FastEthernet1/0
C    192.168.1.0/24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2/0
S    192.168.2.0/24 [**1**/0] via 3.3.3.4

대괄호 속에 애스터리스크 붙은 숫자가 AD값인데,  

이 값은 8bit를 차지하고,  cisco 장비는 0~255 사이의 숫자가 있다.

AD값은 낮을수록 우선 순위가 높다!!

 

ex) EIGRP : 170 / RIP : 120 /  OSPF : 110 / static : 1 

     위 내용에 따라 우선 순위를 정리하면 ~~~~~

     static > OSPF > RIP > EIGRP


AD값은 수동으로 변환이 가능하지만, 우리의 현 수준으로는 어려워서 일단 SKIP~!

 

Packet Tracer 실습 시, RIP 보다 STATIC이 우선할 때 그 근거가 AD값임을 알고 넘어가면 된다~~!

 

'☁ 네트워크 기초 따라가기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istributed  (0) 2022.06.22
OSPF  (0) 2022.06.15
RIP  (0) 2022.06.14
Dynamic Routing  (0) 2022.06.13
Static Routing  (0) 2022.06.1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