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게뭉게 엔지니어

RIP 본문

☁ 네트워크 기초 따라가기/Routing

RIP

어푸어푸🌊 2022. 6. 14. 01:16

매일 하던 복습을 손놓게 만들었던 주인공.. R.I.P

그래도 어떡해.. 해야지....................


RIP란?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Dynamic Routing에 해당하는 것으로, 동일한 protocol을 사용하는 인접장비와 Connected Network정보를 교환하는 Routing Protocol이다.  

    **Routing Protocol : 인접한 라우터와 라우팅테이블을 주고받는 (경로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그 종류가 다양하다.

- Metric(최적 경로 지정 기준)

- Hop count, 최대 16개까지 인정하고, 그 이상으로 넘어가면 routing이 되지 않는다.  ∴큰 규모에는 못씀!

    **Hop count :  거치게 되는 라우터의 수. 라우터가 없으면 아무리 많이 건너가도 홉 카운트에 해당되지 않는다.

- 비교적 작은 범위의 네트워크에서 사용한다.

- 최단거리(Hop count)를 기준으로 경로를 선택한다 = Router를 적게 건너간다. 

-  동적 라우팅(Dynamic Routing)이므로 정보가 30초 주기로 경로 정보를 교환하기 때문에 끊김, 업데이트 등의 변화가 적용되는 속도(= 수렴시간 = convergence time)가 느림.

 **경로계산 알고리즘: Bellman-Ford(B-F) Algorithm 

 ***네트워크 정보를 학습한 인터페이스 방향으로 동일한 네트워크 정보를 재전달하지 않음!(Split Horizon)

 

RIP의 종류로는 RIPv1, RIPv2가 있다.

- RIPv1 : Classful Routing ➡ NA와 Hop count를 전달함.

- RIPv2 : Classless Routing ➡ NA, Subnet Mask, Hop count를 함께 전달함. 

 

RIP를 만드는 방법은 CLI에 global privileged mode에서 router rip라고 선언하여 지역설정모드(Regional Setting Mode)로 변경해주고,  연결된 NA를 써주면 된다!

➡ 이 NA정보를 인접한 Router에 넘겨주는 것!  ∴packet을 전달하는 게 아니라 router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

**Router가 없는 쪽으로는 보내지 않는 것이 효율적임!

 

RIPv2의 동작 방식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RIP 설정 ➡ Routing Table의 connected 정보를 광고함(Multicast 224.0.0.9 로 전달)
2. 광고 메시지를 받은 장비는 자신의 Routing Table에 없는 정보 기록
  - 정보가 들어온 interface를 경로로 지정하고, 전달받은 Hop count +1 값을 저장함.
3. RIPv2가 설정된 모든 Router에서 일정 주기마다 Routing 정보를 광고하는 메시지 전송

 

'☁ 네트워크 기초 따라가기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istributed  (0) 2022.06.22
OSPF  (0) 2022.06.15
Dynamic Routing  (0) 2022.06.13
Static Routing  (0) 2022.06.12
Routing  (0) 2022.06.1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