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게뭉게 엔지니어

L2 - Data Link / Network Interface(Network Access) 본문

☁ 네트워크 기초 따라가기/OSI 7 & TCP IP

L2 - Data Link / Network Interface(Network Access)

어푸어푸🌊 2022. 6. 20. 18:30

2계층은 MAC주소를 지정하는 역할을 하고, Network Environment(네트워크 환경) 정보를 지정한다.

2계층에 사용되는 장비로는 Bridge, Switch(L2), Multi Layer Switch가 있다.

  ① Bridge : Full-Duplex 연결 지원, 신호 재생을 수행하는 장비

  ② L2 Switch : Switching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

                         2계층 프로토콜 정보를 해석하고 이용할 수 있는 장비

                        MAC 주소를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목적지를 구별하여 데이터를 전달함. 

  ③ Multi Layer Switch : L2 기능 외 다른 계층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스위치

                                       ex. L3 switch, L4 switch, L7 Switch

MAC주소란 뭘까?

- NIC(Network Interface Card)에 부여된 고유 식별 값으로,

  Network 통신에서 인접 장비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의 고유 이름이다. 

  단적인 예로, IP주소는 알아도 MAC주소를 모른다면 정확한 수신 위치를 알 수 없다!

 

 

2계층에 사용되는 Protocol인 Ethernet의 Frame에 대해 알아보자.

Ethernet은 대부분의 통신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장비 스스로 정보를 교환해야 하는 경우, IEEE 802.3을 사용함.)

Ethernet의 PDU(Frame)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1) Preamble

     - 동일한 패턴의 신호를 7bytes 연속으로 보내서 데이터 전송을 알린다. (101010····)

     - 2계층 header의 시작을 알리는 역할로, 마지막 1byte의 1bit를 1로 만들어서 알린다.(10101011)

2) Dst Address (Destination Address)

     - 목적지의 MAC Address

3) Src Address (Source Address)

     - 출발지의 MAC Address

4) Type

     -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 코드 값. 

     - 최소 코드 값은 16진수 값 0x0600(1536) 부터 사용한다.

5) Payload

     - 상위 계층에서 내려온 Data

     - 2계층의 Payload는 최대 1500bytes(MTU)까지만 사용 가능하다.

6) FCS(Frame Cheksum Sequence)

     - 다른 계층의 PDU와는 달리, Ethernet의 Frame에는 Footer가 붙고, 여기에는 오류 체크를 위한 값이 들어있다.


Frame 과 header의 개념을 잘 익혀두어야 할 것이다..

'☁ 네트워크 기초 따라가기 > OSI 7 & TCP 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L4 - Transport Layer  (0) 2022.06.20
L3 - ARP와 ICMP  (0) 2022.06.20
L3 - Network / Internet  (0) 2022.06.20
L1 - Physical / Hardware  (0) 2022.06.20
네트워크 모델  (0) 2022.06.1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