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게뭉게 엔지니어
Routing 본문
라우터를 정리하기에 앞서 해당 장치가 속한 계층에 대해 먼저 정리해보고자 한다.
L3(3계층)는 ?
최종 목적지 구분을 위한 IP주소를 지정하는 계층으로,
최종 목적지로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Routing이라고 한다.
이러한 Routing을 수행하는 장비를 Router라고 한다.
Router란?
- Routing을 통해 최적경로를 찾고, Switching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해주는 장비
- 결정된 경로는 Routing Table에 기록하여 관리한다.
- 기본적으로 Broadcast 데이터를 차단하기 때문에 Broadcast Domain을 줄여주고, 네트워크 영역을 구분해준다.
- Gateway : 네트워크 영역의 통로(다른 네트워크로 통하는 문)
Router의 통신 방식
목적지 설정➡Routing Table에서 경로 확인➡다른 네트워크의 경우 Gateway로 전송
➡ Router로 데이터가 들어오면 Routing Table에서 목적지 네트워크 확인 ➡ 있으면 데이터 전송 / 없으면 폐기
Routing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Packet에 포함된 주소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경로선택(Path Determination) 그리고 스위칭(Switching)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Routing Table에 Routing정보가 있으면 실행되고, 없으면 폐기된다.
이때, Routing Table에 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Learning(학습)한다고 표현한다.
Routing은
- IP주소에 따라 네트워크간 전송 경로를 제어한다.
- 종단간 연결을 보장한다.(End to End)
- 비연결지향적, 비신뢰성
- 필요에 따라 Fragment(단편화) 작업을 수행하기도 한다.
┖ MTU(Maximum Transmission Unit)을 초과할 때에 실행됨.
┖ 각 2계층의 Protocol별 최대로 전송할 수 있는 Payload의 길이 (ex. ethernet의 MTU는 1500byte)
┖ MTU가 진행되면 header의 Flags필드에 그 정보가 입력됨.
※ Packet을 전송할 때 실제 LAN에서 전달되는 것은 Frame이며, 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목적지의 MAC주소가 필요하다.
이 때 IP주소(논리적 주소)를 기반으로 MAC주소(물리적 주소)를 알아오는 기술을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라고 하며,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고 특정 프로그램(ping.exe)이 호출되었을 때만 동작한다.
- Request ➡ Broadcasts / Reply ➡ Unicast
Routing은 Static Routing과 Dynamic Routing으로 구분된다.
'☁ 네트워크 기초 따라가기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istributed (0) | 2022.06.22 |
---|---|
OSPF (0) | 2022.06.15 |
RIP (0) | 2022.06.14 |
Dynamic Routing (0) | 2022.06.13 |
Static Routing (0) | 2022.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