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All (46)
뭉게뭉게 엔지니어

라우터를 정리하기에 앞서 해당 장치가 속한 계층에 대해 먼저 정리해보고자 한다. L3(3계층)는 ? 최종 목적지 구분을 위한 IP주소를 지정하는 계층으로, 최종 목적지로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Routing이라고 한다. 이러한 Routing을 수행하는 장비를 Router라고 한다. Router란? - Routing을 통해 최적경로를 찾고, Switching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해주는 장비 - 결정된 경로는 Routing Table에 기록하여 관리한다. - 기본적으로 Broadcast 데이터를 차단하기 때문에 Broadcast Domain을 줄여주고, 네트워크 영역을 구분해준다. - Gateway : 네트워크 영역의 통로(다른 네트워크로 통하는 문) Router의 통신 방식 목적지 설정➡..
금요일에 Dynamic Routing을 배우고 실습하고..멘붕이 왔다. 멘탈이 털린 건지 목요일에 등산갔다온 여파인건지 몸이 축나서 아무것도 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공부도 못하고 기절.. 하필 이렇게 어려운 걸 배울 때 몸이 축날 게 뭐람. 그 여파가 토요일까지 이어져 결국 목금토 무려 3일이나 공부를 쉬었다. 과제도 해야하는데 막막하다.. 그래도 남은 주말 뭐라도 해보려고 카페에 나왔다. 뭐라도 하면 작은 것이라도 얻어가는 게 있겠지.. 일단 라우팅에 대해서 정리하고 복습이 끝나는대로 과제를 해야겠다. 부디 카페 마감 전에 끝나길...
1. 영타수 - 적어도 수업에 따라가는 데에 지장이 있어선 안된다. 수업에 차질이 없을 정도로는 준비를 할 것. 2. 본인만 모르는 것 같다고 생각하지 말 것 3. 외우라고 한 건 다 외울 것 - 지금은 티가 안날지 몰라도 시간이 갈수록 버거워질 수 있음. 이후 실력을 쌓아가는 것은 본인하기 나름임. 4. 잊어버리라고 한 것은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언제든 찾아볼 수 있도록 정리해둘 것. 이 말들을 들으면서 더 겁이 나는 이유는 뭘까.. 기대감이 두려움을 앞선다고 생각했는데 점점 역전이 되고 있는 것 같다..

평생을 문과 계열에서만 공부하고 종사했던 내가 가장 멘붕이 왔던 구간을 정리한다. 나를 첫 혼돈으로 빠뜨린 것은 바로... Subnetting(서브네팅) 되시겠다. 우선 Subnetting이란?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의 IP를 sub network로 분할하는 작업으로, Host ID에 할당된 bit들을 Net ID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니까, Net ID를 증가시키기 위해 Subnetting을 한다고 이해하면 된다. 그럼 Net ID는 왜 증가시켜야 하는가? Classful Network의 문제점인 IP낭비(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다. Subnetting의 순서는 아래와 같다. (⁕subnetting은 bit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을 명심!) 1. 필요한 Network 또는 Host의 수 확..

IP주소라는 건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알게 모르게 익혀지는 단어라지만 Class는 초등학교 시절 "학급"으로 익힌 것 외에 처음으로 알게 된 개념이다. 신선한 충격과 더불어 재미있는 개념이기에 정리한다. Class 란? - 개수가 제한되어 있는 IP를 효율적으로 나눠주고 관리하기 위해 도입된 IP 관리 체계이며, 이를 Classful Network라고 한다. 즉, 지금부터 하는 이야기는 모두 Classful Network에 관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Network에서 필요한 IP의 개수대로 Class라는 그룹에 지정된 동일한 양만큼 IP를 할당하는 방식이다. - 각 Class는 Net id 크기를 다르게 사용하는데, 이에 따라 하나의 Network영역에서 할당 가능한 Host의 크기가 달라진다! ..

숫자와는 거리가 멀었던 내가 숫자의 향연을 처음으로 경험하게 되는 IP주소! IP주소는 대충은 알고 있었지만 명확한 개념을 처음 알게 되어 정리한다. IP 주소란? 전체 네트워크에서 서로를 식별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번호로, 고유한 값으로 사용한다. IPv4와 IPv6가 있으며, IPv4를 주로 사용한다. 그렇다면... IPv4는 무엇인가.. 숫자 4개로 표현하는 IPv4의 기본 모양은 아래와 같다. 0 . 0 . 0 . 0 이렇게 온점 3개로 구간을 4개로 나눴으며, 나누어진 구간을 Octet(옥텟)이라고 칭한다. 0 . 0 . 0 . 0 1octet 2octet 3octet 4octet 1byte 1byte 1byte 1byte 8bit 8bit 8bit 8bit IP 주소는 십진수로 표현..